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꿀팁

헥사코 테스트 NBTI보다 더 정확하다는데(+해석포함)

by tis99999 2023. 2. 28.
반응형

최근 방송된 tvN 어쩌다 어른에서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김경일'이 출연했습니다. 심리학과 교수님답게 강연도중 자연스럽게 MBTI이야기가 나왔습니다. MBTI는 변하지 않는 인간의 성격을 반영하기보다는 최근 3년간의 나의 성향을 알려주는 것에 더 가깝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성격을 잘 알아볼 수 있는 검사로 '헥사코 테스트'를 추천했습니다. 

 

헥사코 테스트 하는 곳

 

https://survey.ucalgary.ca/jfe/form/SV_0icFBjWwyHvJOfA

 

University of Calgary

The most powerful, simple and trusted way to gather experience data. Start your journey to experience management and try a free account today.

survey.ucalgary.ca

 

헥사코 테스트는 캐나다 캘거라 대학의 이기범과 마이클 애쉬튼이 고안해 낸 성격 검사입니다. 정서성, 개방성, 성실성, 원만성, 외향성이라는 5가지 기질에 '정직겸손성'을 추가하여 한국인의 특성을 파악하는데도 매우 유용하다고 합니다. 

 

헥사코 테스트는 위의 링크에 접속하셔서 하실 수 있습니다. 첫 화면은 영어이지만 위쪽에서 언어설정을 '한국어'로 바꾸면 한국어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문항은 100문항 정도로 소요시간은 15분이라고 하지만 조금 더 걸리는 듯합니다. 1가지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중간정도-약간 그렇다-매우 그렇다 중에 1개를 선택하면 됩니다. 

 

주의력을 확인하기 위한 문항도 있고, 통계를 위해 개인의 특성에 대해 질문하는 문항도 있습니다. 나라는 'South Korea'를 선택하면 됩니다. 종교, 정치적 성향, 혼인상태까지 물어봅니다. 응답하기 곤란하다면 '응답하지 않음' 선택지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헥사코 테스트 결과 

 

 

검사를 끝내고 나면 위와 같은 숫자를 만날 수 있습니다. 제일 위에 대문자로 쓰인 단어가 대표적인 기질을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거나 높다고 해서 좋은 것이 아니라 내가 그러한 성향이 더 많거나 적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점수치로만 보여주고 자세한 설명은 없는 것이 좀 아쉽기는 합니다. 50%는 중간값,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정직겸손성

정직을 지키며 인간관계에서 허례허식이 적은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점수가 높다면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 하지 않으며, 규칙을 잘 지킵니다. 사치스러운 것에 관심이 적고 사회적 지위나 명예에도 큰 관심이 없습니다. 정직겸손성에서 점수가 낮다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빈말을 잘하고,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규칙을 어기는 일도 잦습니다. 물질적인 것에 의해 동기부여가 잘되고 그것을 통해 자만심을 느끼기도 합니다. 

 

sincertiy

성실도는 대인관계에서 얼마나 진실한 지를 알아봅니다. 점수가 낮다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아첨하거나 좋아하는 척을 잘 하지만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fairness

공정성은 부정부패를 피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부정행위를 통해서라도 이득을 얻으려는 반면 점수가 높다면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이나 사회적 약속을 이용하려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greed avoidance

탐욕회피 사치품, 명예와 같은 것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부와 특권을 즐기고 과시하려 하고, 점수가 높다면 돈과 명예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modesty

겸손은 자신이 얼마나 겸손한 편인지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스스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에 비해 자신은 특권을 누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자신은 특별한 대우가 필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서성

다른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의지하려는 성향이 많은 경우 이 부분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납니다.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른 사람의 공감과 감정적 애착에 집중합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불안감을 크게 경험하기도 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도 걱정이 거의 없으며, 다른 사람에게 걱정거리를 이야기하지 않으며, 감정적으로 공유하는 일이 적습니다. 

fearfulness

두려움 점수가 낮다면 신체적으로 다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편입니다. 점수가 높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감하고 신체적 고통에 둔감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많으며 그러한 행동을 피하려 합니다. 

anxiety

걱정 척도는 자신이 얼마나 걱정을 하는 편인지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크게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지만 점수가 높다면 비교적 사소한 문제도 크게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dependence

의존도는 다른 사람에게 얼마나 정서적으로 의존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자신감이 있고 어려운 문제에 빠져도 도움이나 조언 없이도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으로부터 격려와 위안을 통해 어려운 문제를 탈출하려 합니다. 

sentimetality

감성척도는 다른 사람과 얼마나 감정적으로 유대감을 느끼는 가를 평가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과 감정적 애착이 높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잘 공감합니다. 

 

 

외향성

외향성 점수가 높다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즐깁니다. 점수가 낮다면 내향적이라는 뜻으로 자신이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고 사람들로부터 주의가 집중될 때 어색함을 느끼며 사회 활동에 무관심하고 다른 사람에 비해 덜 활기차고 덜 낙천적이라고 느낍니다. 

social self-esteem

사회적 자존감은 사회에서 얼마나 긍정적으로 자기를 존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높다면 자신에게 만족하고 자기 자신에게 호감을 가집니다. 점수가 낮다면 자신이 가치 있다고 느끼지 못하며, 인기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social boldness

사회적 대담성은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자신감을 평가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발표를 하거나 다른 사람의 주의가 집중될 때 어색함을 느낍니다. 점수가 높다면 낯선 사람에게 쉽게 다가가고, 많은 사람 속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잘 드러냅니다. 

sociablity

사회성 척도 점수가 낮다면 혼자 하는 활동을 좋아하고, 대화하는 것을 즐기지 않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즐기며 대화도 좋아합니다. 

Liveliness

활력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열정과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자신이 명랑하거나 역동적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자신에 대해 낙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원만성

다른 사람과 의견을 잘 맞추며 언쟁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 원만성이 높게 나옵니다. 누군가가 자신에게 해를 끼치더라도 화를 잘 내지 않으며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데 관대합니다. 원만성 점수가 낮다면 자신에게 피해를 준 사람에게 원한을 가지기 쉬우며 다른 사람의 단점에 대해 비판을 잘 늘어놓고, 자신을 방어하는데 급급하며 쉽게 화를 내기도 합니다. 

forgiveness

용서성 점수가 낮다면 자신의 기분을 나쁘게 한 사람들에 대해 원한을 품는 경우가 많고, 점수가 높다면 자신을 기분 나쁘게 한 상대도 쉽게 다시 믿으며 관계를 재정립할 준비도 되어 있습니다. 

gentleness

관대성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상냥하고 관대한지를 평가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다른 사람들을 쉽게 비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꺼립니다. 

flexibilty

유연성은 다른 사람과 협력하려는 의지를 평가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완고한 편으로 다른 사람과 쉽게 논쟁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논쟁을 피하려 하고 다른 사람의 제안을 쉽게 수용합니다. 

patience

인내심은 침착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쉽게 화를 내는 반면 점수가 높다면 화가 나더라도 그 감정을 표출하는 데 있어서 높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성실성

성실성 점수가 높다면 목표를 향해 계획적으로 움직이고 정확성과 완벽성을 가지려 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정리정돈에 무관심하고, 어려운 목표나 과제를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을 하다가 약간의 문제가 생겨도 크게 동요하지 않으며 충동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경향도 있습니다. 성실성이 낮다고 게으른 것은 아니며 창조력이 강할수록 성실성이 낮아지기도 합니다. 

 

organizaton

조직은 물리적 환경에서 질서를 추구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높다면 일을 깔끔하게 정리하며, 일에 있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Diligence

근면성은 열심히 일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성취 의욕이 적고 자기 훈련을 잘하지 않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강한 "직업윤리"를 가지고 목표를 향해 노력합니다. 

perfectionsm

완벽주의 점수가 낮다면 일을 하는 도중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를 수용하는 편입니다. 점수가 높다면 실수하지 않기 위해 여러 번 확인하려 합니다. 

prudence

조심성은 신중하게 생각하고 충동을 억제하는 경향입니다. 점수가 낮다면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결과를 고려하지 않으려 합니다. 점수가 높다면 선택 시 신중하고 옳지 않다고 생각된다면 자제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방성

개방성 점수가 높다면 다양한 영역을 탐구하는 것을 선호하며 일상에서도 상상력을 발휘하며 특이한 발상을 하기도 합니다. 개방성 점수가 낮다면 예술작품에 크게 관심이 없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피합니다. 

 

Aesthetic Appreciation

심미성 척도는 예술과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정도를 말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예술작품이나 자연의 아름다움에 큰 관심이 없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양한 예술과 자연의 경이로움에 강렬할 끌림을 느낍니다. 

Inquisitiveness

탐구성 척도는 자연과 인간에 대해 정보를 찾고, 경험하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점수가 낮다면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에 호기심이 적습니다. 점수가 높다면 많은 책을 폭넓게 읽으며 여행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creative

창조성 점수가 높다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 하고, 예술로 자신을 표현하려 합니다. 

Unconventionality

비예상성 척도는 특이점을 얼마나 받아들이는 가를 평가합니다. 점수가 낮다면 특이한 사람을 피하려 하고, 점수가 높다면 이상하거나 급진적인 아이디어도 수용하려 합니다. 

 

이타주의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동점심과 마음을 나타냅니다. 점수가 높다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 주는 행동을 하지 않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쉽게 손길을 내밉니다. 점수가 낮다면 다른 사람에게 상처 줄 가능성이 높으며 냉혹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