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꿀팁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 조의금·복장·계좌이체까지 실전 매뉴얼

by tis99999 2025. 5. 10.

장례식장에 가야 할 일이 생기면 누구나 조심스러워집니다.
절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 복장을 입어야 하는지, 조의금은 얼마를 해야 할지…
당황하지 않도록 기본적인 예절과 절하는 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

남성

  • 두 손을 모아 오른손이 위로 오게 하여 가슴 앞에 둡니다.
  • 왼쪽 무릎부터 꿇고, 이어 오른쪽 무릎을 꿇습니다.
  • 이마가 바닥에 닿을 듯 상체를 깊이 숙여 절합니다.
  • 2회 반복한 뒤 묵례(고개 숙이기)로 마무리합니다.

여성

  • 두 손을 모아 왼손이 위로 오게 하여 무릎 위에 둡니다.
  • 양 무릎을 동시에 꿇고, 손을 바닥에 짚으며 절합니다.
  • 2회 절 후, 고개 숙여 묵례합니다.

👉 대부분의 경우 2번 절 + 묵례가 기본입니다.

반응형

🙏 종교별 예절

종교 절 방식
불교 향 피운 후 삼배 또는 합장, 묵념
기독교 절 대신 헌화, 묵례 또는 기도
천주교 고개 숙이기 또는 성호 긋기
무교/일반 2회 절 + 묵례가 기본

🪔 향 피우기 & 헌화 예절

  • 향 피우는 법: 향 1~3개를 촛불에 붙여 피운 후, 연기만 남기고 향로에 꽂습니다.
    → 두 손으로 가슴→이마까지 올린 후 향로에 꽂는 것이 기본 예절입니다.
  • 헌화하는 법: 국화는 줄기를 오른손, 꽃봉오리를 왼손으로 들고,
    꽃봉오리를 고인 쪽으로 향하게 향단 앞에 바칩니다.
    → 한 걸음 물러서 고개 숙여 묵념하면 됩니다.

👔 장례식장 복장

  • 남성: 검정 정장, 흰 셔츠, 검정 넥타이, 검정 구두
  • 여성: 단정한 검정 계열 복장, 화려한 화장과 액세서리는 금지
  • 공통: 밝은 색, 캐주얼한 옷, 운동화는 피하는 것이 예의

💸 조의금 봉투 & 계좌이체

봉투 작성법

  • 앞면: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意)’ 중 선택
  • 뒷면: 이름을 세로로 쓰고, 소속도 함께 적어도 무방
  • 금액: 3만~10만 원대가 일반적, 친분에 따라 조절

계좌이체 시 예절

  • 계좌 송금 시 입금자명에 ‘홍길동조의’ 등으로 표시
  • 간단한 문자 예시:
    “직접 찾아뵙지 못해 송구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현장 참석 없이 계좌이체만 해도 예의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 장례식장 다녀온 후 예절

  • 소금 뿌리기: 현관이나 베란다에서 소금 가볍게 뿌리기
    → 부정한 기운을 씻는 전통으로, 현대엔 손 씻기·샤워로 대체되기도
  • 유족에게 문자 인사:
    “무거운 마음으로 다녀왔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절 안 하고 묵례만 해도 될까요?
A. 가능합니다. 종교적 이유나 유족에 따라 묵례만으로 충분히 예의입니다.

 

Q2. 아이도 함께 가도 되나요?
A. 분위기에 따라 다르지만, 어린아이는 동행하지 않는 게 일반적입니다.

 

Q3. 한복도 예의에 맞나요?
A. 가능하지만 너무 화려하거나 전통적인 색은 피해주세요.

 

Q4. 조의금은 반드시 홀수만 되나요?
A. 옛 관습이지만 요즘은 짝수도 무관하며, 마음이 중요합니다.

 

Q5. 장례식 참석 못했는데 이체만 해도 되나요?
A. 네, 문자로 마음을 전하면 충분한 예의가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5.03 - [생활 속 꿀팁] - 조문위로문자 예시 상황·종교별로 정리했습니다

 

조문위로문자 예시 상황·종교별로 정리했습니다

조문위로문자 예시 15개, 예절·복장·순서·주의사항까지 정리했습니다. 종교별 맞춤 표현으로 상황에 맞는 문구를 확인해보세요.조문위로문자란?조문위로문자는 고인의 별세 소식을 접하고 직

this.tisyeo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