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꿀팁

내일채움공제 3년형 자격 조건 정리! 3천만원 모으는 법

by tis99999 2025. 3. 26.

연봉 높은 직장, 모두가 원하지만 현실은 경쟁률이 너무 높죠.
반면, 중소기업 취업은 상대적으로 여건이 열악하다는 인식 때문에 기피 대상이 되곤 합니다.
이런 청년들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는 중소기업 장기 근속을 장려하는 제도,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 3년형을 운영 중입니다.

2025년에도 여전히 신청 가능하며,
최대 3,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실속 제도인 만큼, 꼭 확인하세요!

✅ 청년내일채움공제 3년형이란?

청년이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 후 3년간 근속하면,
본인 + 정부 + 기업이 함께 적립한 금액을 만기에 일시금으로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2025년형은 연계가입형으로 운영 중이며,
3년형부터 10년형까지 선택 가능,
정부+기업이 월 24만 원을 지원,
✔ 본인은 월 10만 원만 납입하면 OK!

💡 총 월 최소 34만 원 적립, 3년 유지 시 3,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

 

 

반응형

 

🧾 내일채움공제 3년형 자격 조건 (2025년 기준)

1) 청년 자격

  • 나이: 만 15세~34세 (군필자는 최대 39세까지 연장 가능)
  • 고용형태: 5인 이상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자
  • 급여 조건: 월 급여 300만 원 이하

2) 기업 조건

  • 업종: 제조업, 건설업 등 5인 이상~50인 미만 중소기업
  • 제외 대상: 임금체불 사업장, 중대 산업재해 이력 기업

👉 청년과 기업 모두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 가능

 

💰 3년형 지원금 및 총 수령액

🟦 3년형 기준 (2025)

  • 본인 납입금: 600만 원 (월 16.5만 원 수준)
  • 정부 지원금: 600만 원
  • 기업 기여금: 600만 원
  • 총 수령액: 1,800만 원 + 이자

🟨 기존 내일채움공제 재가입 시

  • 내일채움공제 연계가입형 가능
  • 재직기간 충족 시 재가입 / 연장가입 모두 가능

🧭 신청 방법 & 절차 (2025년 최신)

💻 온라인 신청

  1. 참여신청: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청년·기업 공동 신청
  2. 자격심사: 기업 및 청년 요건 확인
  3. 청약신청: 납입금 설정 후 계약 체결
  4. 적립 개시: 자동이체 설정 후 매월 적립 시작
  5. 만기 수령: 만기 시 홈페이지 통해 출금 신청

🏢 오프라인 신청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본부 방문
  • 공제계약 작성 → 심사 → 적립 → 만기 수령

✔ 본인 및 기업 모두 신청 서류 준비 필수!
✔ 정규직 채용 6개월 이내 신청해야 인정됨

 

❗ 중도 해지 시 주의사항

  • 기업 귀책(도산 등): 전액 수령 가능
  • 개인사유 퇴사: 본인 납입금 + 일부 지원금
  • 12개월 미만 퇴사: 본인 납입금만 환급
  • 사망·재해 등 예외 사유: 전액 환급

📌 반드시 3년 근속을 목표로 해야 100% 혜택 가능!

 

🌟꿀팁

정부의 청년지원 제도는 시중 금융상품보다 이율이 훨씬 높습니다.
하지만 공제는 최소 3년~5년 이상 묶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여윳돈으로 시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목돈을 만들고 싶다면 강력 추천
✔ 단, 중도 퇴사 가능성이 크다면 신중하게 결정!

 

댓글